🟢2025 회복적정의주간 행사가 열립니다!🟢 International Restorative Justice Week
국제회복적정의주간은, 1970년대 영국의 교도소 사목들이 ‘재소자를 기억하는 하루’를 마련해 지키던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이 움직임이 캐나다와 여러 나라로 확산되면서 ‘재소자 주간’으로 확대되었고, 1995년부터는 그 명칭이 ‘회복적 정의 주간(Restorative Justice Week)’으로 바뀌었습니다. 현재는 매년 11월 셋째 주를 ‘국제 회복적 정의 주간(International Restorative Justice Week)’으로 정해 전 세계적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부터 한국회복적정의협회가 이 주간을 기념해 오고 있으며, 올해에는 특별히 유럽의 회복적 정의 운동에 대해 유럽RJ포럼의 대표를 초청하여 들어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또한 국내의 다양한 영역(학교, 언론, 평화활동 등)에서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 손님들을 초청하여 풍성한 국제회복적정의주간이 되도록 준비하였습니다.
이 행사에는 협회 회원을 비롯해 회복적 정의 운동에 관심있는 많은 분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평소 회복적 정의에 관심있는 분들 또한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 등 모든 분들에게 회복적 정의의 깊이와 배움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2026년 11월 17일(월)-21일(금), 오후 7시-9시, 온라인 ZOOM.
☑️이야기손님 소개 및 신청하기 : https://forms.gle/c1xT3AMQhWRYbBh6A
(위의 링크를 통하여 신청해주시면 매 강의 하루 전날, 참석할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SPEAKER 소개.
☑️11월 17일(월) 유럽에서의 회복적정의 l 국제 l Edit Törzs(에디트 퇴르츠) (유럽회복적정의포럼(EFRJ) 대표) l 유럽회복적정의(EFRJ)의 활동 소개.
☑️11월 18일(화) 회복적 정의와 학교 l 학교 l 김경익 (울산중앙중학교 교감) l 울산교육청의 회복적 학교 문화 만들기.
☑️11월 19일(수) 회복적 정의와 교회 l 종교 l 변상욱 (전 CBS 종교부장, 현 한국기독교언론포럼 공동대표) l 저널리즘이 바라 본 교회의 개혁 과제.
☑️11월 20일(목) 회복적 정의와 평화 l 평화 l 해초(김아현) (개척자들) l 가자지구 평화활동가 l 가장 작은 마을에서 온 나라의 평화가 시작되리라.
☑️11월 21일(금) 회복적 정의와 학교폭력 l 실천 l 윤구식(회복적정의협회), 전상희(갈등해결과대화), 박성일(한국비폭력대화), 정동혁(평화비추는숲) l 학교폭력에 대한 회복적 접근의 방향과 실제. |